메뉴 건너뛰기

2024.05.21 14:55

4月 동암강독

조회 수 144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동암 강독>이 열리고 있습니다서두르지 않고 쉬지 않고, 5주에 한 번 모입니다. 지난 강독 모임에는 회원 여일숙비랑:는길연이정사이 그리고 청강자 재랑이 참석하였습니다. 

선생님 댁 차방에서 낮게 존재하는 사물들과 어울려 영원한 자기소개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독서하며 쟁여온 질문을 선생님께 드립니다새 말을 붙잡고 담아두기 위하여 손은 민활하게 움직이고 노트는 빽빽해졌습니다그렇게 기록된 언어는 어떤 운명()을 얻고 있을까요간절하였고 그래서 바삐 筆하였던 활자를 살아()내는 노동은 여전히 기록한 자의 몫으로 남아 있습니다. 



ffff.jpg

실은 그게 내겐 가장 놀라운 사실이었다은폐된 상처의 만연(蔓延)에도그 어떤 상처도 공부를 위해서공부를 통해서공부를 향해서 생성된 것이 아니라는 사실말이다.” (차마깨칠 뻔하였다늘봄, 2018, 264.)


상처의 절망에 대하여 배웠습니다상처와 어리석음은 근친한 관계에 있는 것만 같습니다어리석음으로부터 자유로워진 상처는 드물고 어리석음이 된 상처는 흔합니다그러나 좁은 길에 주목하여 보면, 분명 어떤 이들은 상처의 중력을 견디며 오히려 그 어둠 속에서 자신을 깊게-갈무리함으로 정화의 길을 내기도 하는데, 신비주의적 영성가인 이블린 언더힐(Evelyn Underhill)은 이런 구간을 ‘영혼의 어두운 밤이라고 하였습니다. 드리워진 어둠조차 어떤 길의 방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듯합니다모든 수행자와 영성가 그리고 수행적 공부에서 비슷한 과정과 형식이 발견된다고 배웠으니, 긴 공부 길에서 마치 상처’나 '어둠'이 맡은 역할이 있어 보입니다상처는 일종의 내몰림과 같아서 욕망을 정화하고 의욕을 벼리는 진짜배기의 시간에 도달하게도 하고실재를 견디지 못하고 현세 적응의 차원으로 퇴행하게도 합니다. 이렇듯 위기이며 기회인 시간(성)과 버성기며 어떤 진실이 생성되겠지요.


그날 선생님께서는 우리의 상처가 얼마나 사소한가를 지적해 주셨습니다우리의 상처가 어디로부터 생겨나는지요과연 ‘공부로부터 생겨난 상처였는지돌아 보건대알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공부의 상처는 외려 사소하게 배치되고 보상의 굴레나 신경증의 구조욕망의 체계 혹은 체계의 욕망으로부터 생긴 상처는 환착(幻着) 되고 있었습니다할 수 없습니다스스로를 근심하며 변화가 생길 때까지 계속해서 걸어 나갈 뿐입니다. 공부를 신뢰하며 저도 모르게 되풀이하는 상처를 대면하고, 상처 보다 낮게 걷는 걸음을 익히는 과정 속에 있습니다.

<공부로부터 생겨난 상처>라는 말을 배웠습니다. 그(녀)의 공부가 진실하였고 마침내 공부가 그(녀)의 존재 방식이 되어서야 공부의 상처가 생겨납니다. 비로소 학생이 됩니다. 공부를 향하여 상처입고 공부를 통하여 상처 보다 커진 이, 생활 곳곳 무의식 곳곳까지 ‘학생이 될 수 있을까요. 

필기해 놓은 물음 앞에 다시 섭니다.


우리가 공부하는 것이 얼마나 거짓인가우리의 상처가 얼마나 사소한가.’




 ddd.jpg

[동암 강독 소식]

* 5月 동암 강독은 24()에 열리며,  6月 모임은 28일(금)입니다.

** 청강자였던 재랑이 입회 절차를 거쳐서 동암 강독 회원이 되었습니다. 

*** 다음 모임부터 동암 강독은 대구시 수성구로 이동합니다회원 사이의 집에서 오후 3~7시까지 4시간을 어울려 공부합니다.

**** 교재는 차마깨칠 뻔하였다입니다. 다음 모임 진도는 7(‘복종과 의무...’)입니다. 





  • ?
    如一 2024.05.23 10:31
    우리의 상처는 얼마나 사소한가, 공부로부터 생겨난 상처가 있어야 학생이다. 보물을 마당에 묻고 까맣게 잃고 있었던 것을
    다시 상기 시켜주어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6 길속글속 147회 '말하기 심포지움' 별강문 --- '말(言)'을 하기 위하여 나는 무엇을 했는가 유재 2023.02.17 119
255 진실은 그 모양에 있다 file 遲麟 2019.10.02 121
254 녹색당 생각 토우젠 2020.05.06 122
253 茶房淡素 (차방담소)-5-달의 집으로 가다 1 효신 2020.11.01 122
252 낭독일리아스_돌론의 정탐편 1 허실 2019.10.17 123
251 '밟고-끌고'의 공부길,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lector 찔레신 2023.02.05 123
250 茶房淡素 (차방담소)-2 효신 2020.09.20 126
249 踏筆不二(19) 天生江水流西去 지린 2020.09.17 127
248 우리의 아이 1 토우젠 2020.06.28 128
247 매실청 개시 기념, file 희명자 2020.10.14 128
246 길속글속 147회 '말하기 심포지움' 별강문 --- 잘 말하기 위한 노력들 燕泥子 2023.02.17 128
245 동시 한 편 소개합니다 1 遲麟 2019.09.30 129
244 踏筆不二(3) 원령(怨靈)과 이야기하는 사람 2 file 遲麟 2019.11.15 129
243 吾問(3) 언어화 1 敬以(경이) 2020.09.22 129
242 自省 file 지린 2023.05.08 129
241 踏筆不二(0) 2 遲麟 2019.10.22 130
240 산책_ 외출1 1 肖湛 2020.06.01 130
239 장독후기(22회) 2023/3/26 1 簞彬 2023.04.08 130
238 남성성과의 화해 懷玉 2020.09.11 133
237 [一簣爲山(10)-서간문해설]寄亨南書 file 燕泥子 2022.03.22 134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