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7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眞善美의 통합이 자신의 몸을 통해 드러나는 이치(=생활양식) 속에 표현될 수 있도록, 각자 공부길에 조금씩의 變針을 줍니다. 詩(시간성)와 畵(공간성)의 정신이 서예(書) 속에 통합되는 게 하나의 사례일 것이고, 혹은 간단한 메모를 하더라도 그곳에 자신의 품(品)과 결이 보일 수 있어야 합니다. 

2. '영원한 자기소개'의 趣旨를 종종 확인하면서, 자신의 소개글(말)을 조금씩 다듬어가기 바랍니다. 

3. <暗然而章> 중 중국어 성조 shēngdiào에 조금 더 유의해야 합니다.

4. 저항(Widerstand)에 대한 가장 실질적인 비각은 '현복지'나 '연극적실천'이라 해야할 것입니다. 

5. 아직도 '압존(壓尊)'의 윤리/연극을 익히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아무 실-없는 저항(Widerstand)으로, 다른 쪽으로는 과공비례(過恭非禮)의 후유증으로 이같은 非禮가 생기니, 다시 살피고 익히기 바랍니다. 

6. 주천이나 복기법 등, 氣運動은 氣의 세밀함에 적절한 세심지공(細心至功)이 있어야만 체험의 효능과 보람이 생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6 < 86회 별강> 타자, 그 낯섦의 구원 해완 2020.09.25 144
295 <107회 별강 > 1 해완 2021.07.22 214
294 <82회 별강> 여자의 말을 배운다는 것 燕泥子 2020.08.01 191
293 <83회 별강> 능력주의 신화는 아직도 진행 중? 冠赫 2020.08.14 191
292 <84회 별강> 2년 6개월 공부의 성과와 위기 1 懷玉 2020.09.03 482
291 <89회 속속 별강> ‘約已, 장숙(藏孰) 가다’ 약이 2020.11.12 286
290 <90회 속속 별강> 말(言)을 배운다 侑奏 2020.11.27 182
289 <91회 별강>집중에 들어서다-낭독하는 삶 효신 2020.12.11 165
288 <藏孰> 천안시대, 晦明齋를 열며 2 file 찔레신 2019.07.11 337
287 <동무론>, 전설의 책 ! 3 file 찔레신 2022.10.04 358
286 <장숙>, 2023년 (1-3) file 찔레신 2022.12.26 257
285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청라의 독후감 1 찔레신 2023.01.03 305
284 <적은 생활...> 서평, 중앙일보 양성희 기자 찔레신 2022.12.12 194
283 <조선, 1894 여름> 의제 지린 2020.07.30 55
282 <최명희와 『혼불』제1권> 발제문을 읽고 2 file 는길 2024.03.29 138
281 <틈셋학교>를 연기합니다, file 희명자 2020.02.21 296
280 '글쓰기'라는 고민 해완 2022.01.05 405
279 '밟고-끌고'의 공부길,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lector 찔레신 2023.02.05 124
278 '실력 있음"이 죄가 될 때 1 해완 2020.06.24 165
277 (155회 속속 硏講) 가장자리에서 지린 2023.06.10 21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