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4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고전평설.jpg





/




서   문



이 책은 199510월부터 19967월 사이에 고교 독서 평설중학 독서 평설'고전 명저 평설'난에 연재했던 글을 한데 묶은 것이다. 한 권의 책으로 엮기 위해 가필(加筆)하는 과정에서 예상 독자를 고등학생으로 여겨 글의 난이도를 전체적으로 조정했다. 따라서 이 책은 우선 고등학생을 위해서 씌인 것이다.

그러나 실험 독서를 시켜 본 그간의 경험에 의하면 독자층이 다소 넓어질 수도 있으리라고 판단된다. 유달리 조숙하다고 할 수는 없는, 눈맑은 초등학교 학생 몇몇도 이 글의 상당 부분을 너끈히 읽어 내는 것을 지켜 보았고, 유달리 미숙하다고 할 수도 없는, 안경낀 대학원생 몇몇으로부터도 이 글의 상당 부분을 통해서 계몽의 즐거움을 느꼈다는 고백을 듣기도 했다. 무릇 연장이란 쓰기 나름이니, 결국 학생들이 이 책을 부리는 솜씨에 따라 그 내실(內實)이 결정될 터이다.

비록 고전이라도 엎어놓고 지나치면 한 뭉치의 종이일 뿐이지만, 펴서 그 세계에 눈뜨게 되면 인류 역사와 그 향방(向方)을 가늠케 하는 잣대로서 부족함이 없다. 무릇 고전이란 다만 낱낱의 책이 아니라, 한 사회와 한 문화권이 사고하고 상상하는 길을 대변해 주고 또 형성하기 때문이다.

아무쪼록 여러 학생들이 이 작은 책을 계기로 고전의 세계에 눈뜨고, 그 깊은 맛과 높은 멋을 즐기며, 앎과 삶의 쉬임없는 자양분으로 삼아 나가기를 바란다. 다만, 이 책이 제공하는 고전 원문의 '요약'은 고전의 세계에 들어가는 징검다리의 구실에 국한되어야 하며, 원문 자체를 대신하지는 말아야 한다는 점을 힘주어 지적해 둔다.

이 조그만 책을 내 여동생 형숙(亨淑)의 분신인 조카딸 니나(Nina)에게 준다. 언젠가 외삼촌의 나라말을 제대로 익혀 일독(一讀) 하기를, 그리고 고전 속에서 성숙해 가기를 기대하면서.

199685






  1. (15) 보행, 철학과 현실사, 2001

  2. (14) 자색이 붉은색을 빼앗다, 동녘, 2001

  3. (13) 지식인과 심층근대화 -접선의 존재론-, 철학과 현실사, 1999

  4. (12) 문화文化 문화文禍 문화紋和, 동녘, 1998

  5. (11) 진리․일리․무리-인식에서 성숙으로-, 철학과 현실사, 1998

  6. (10) 손가락으로, 손가락에서: 글쓰기(와) 철학, 민음사, 1998

  7. (9) 소설 속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1997

  8. (8) 고전평설, 철학과 현실사, 1996

  9. (7) 탈식민성과 우리 인문학의 글쓰기, 민음사, 1996

  10. (6) 컨텍스트로, 패턴으로, 현대의 지성, 1996

  11. (5) 철학으로 영화보기, 영화로 철학하기, 철학과 현실사, 1994

  12. (4) 현상학과 시간, 까치, 1994

  13. (3) 신없는 구원, 신앞의 철학, 다산글방, 1994

  14. (2) 서양철학사의 구조와 과학, 은익, 1993

  15. (1) 철학과 상상력, 시간과 공간사, 1992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