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6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세속의어긋남과어긋냄의인문학.jpg




/




책머리에


어긋남'은 개인의 실착이기 이전에 세속의 구조입니다. 그것은 의도와 언어의 힘으로 일껏 이룩한 성취의 그늘과 같아 구성적으로 끈질깁니다. 그러므로 진광불휘(眞光不輝)의 지혜 는 문명의 것이 아니지요. 이 문명의 직물 속에서 새로운 어리석음이 돋는 것입니다. 어긋남이 꼭 어리석음의 밑절미인 것은 아니지만, 인생의 어리석음은 늘 이 어긋남, 혹은 그 상처와 관련을 맺습니다. 인문학이 세속의 구조와 사람의 무늬(人紋)가 섞여들며 생성시키는 이치와 미립에 대한 관심일 수밖에 없을 터, 인문학은 곧 어긋남에 대한 이론적 관심이며, 더불어 그 상처와 어리석음을 다루는 실천의 노동인 것입니다.

이 노동을 일러 '어긋냄' 이라고 합니다. 마치 ()은 속도' 라고 할 때처럼 세속적 어긋남의 속도를 앞지르거나 지양(止揚)하는 일관성을 말합니다. 요컨대 어긋남의 구조를 통새 미로 알면서도, 그 두루 아는 것을 죽인 채 외려 모난 일을 찾는 것(圓而究方)이 어긋냄이지요. 이 작은 책이 인문학을 찾는 이들로 하여금 어리석게 어긋나는 세속을 부디 슬기롭게 어긋낼 수 있도록 돕기를 바랍니다. 어긋나는 것은 우리 모두의 운명이지만, 어긋내지 못하는 것은 당신 혼자만의 타락이니까요.








  1. (19-3) 동무론(3판), 글항아리, 2025 *신간

    Date2025.08.13 By장숙藏孰 Views136
    Read More
  2. (33) 조각난 지혜로 세상을 마주하다, 글항아리, 2024

    Date2025.08.12 By장숙藏孰 Views80
    Read More
  3. (32) 그림자 없이 빛을 보다, 글항아리, 2023

    Date2025.08.11 By장숙藏孰 Views83
    Read More
  4. (31)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늘봄, 2022

    Date2025.08.07 By장숙藏孰 Views40
    Read More
  5. (30) 옆방의 부처, 글항아리, 2021

    Date2025.08.06 By장숙藏孰 Views45
    Read More
  6. (29) 인간의 글쓰기 혹은 글쓰기 너머의 인간, 글항아리, 2020

    Date2025.08.05 By장숙藏孰 Views118
    Read More
  7. (28) 자본과 영혼, 글항아리, 2019

    Date2025.08.04 By장숙藏孰 Views56
    Read More
  8. (19-2) 동무론 2판, 최측의 농간, 2018

    Date2025.08.01 By장숙藏孰 Views57
    Read More
  9. (27) 차마, 깨칠 뻔하였다, 늘봄, 2018

    Date2025.07.31 By장숙藏孰 Views75
    Read More
  10. (26) 집중과 영혼, 글항아리, 2017

    Date2025.07.30 By장숙藏孰 Views59
    Read More
  11. (25) 당신들의 기독교, 글항아리, 2012

    Date2025.07.29 By장숙藏孰 Views54
    Read More
  12. (24) 봄날은 간다, 글항아리, 2012

    Date2025.07.28 By장숙藏孰 Views56
    Read More
  13. (23) 비평의 숲과 동무공동체, 한겨례출판, 2011

    Date2025.07.21 By장숙藏孰 Views58
    Read More
  14. (22) 세속의 어긋남과 어긋냄의 인문학, 글항아리, 2011

    Date2025.07.18 By장숙藏孰 Views67
    Read More
  15. (21) 공부론, 샘터, 2010

    Date2025.07.17 By장숙藏孰 Views51
    Read More
  16. (20) 영화인문학, 글항아리, 2009

    Date2025.07.16 By장숙藏孰 Views56
    Read More
  17. (19) 동무론, 한겨례출판, 2008

    Date2025.07.15 By장숙藏孰 Views56
    Read More
  18. (18) 동무와 연인, 한겨례출판, 2008

    Date2025.07.14 By장숙藏孰 Views44
    Read More
  19. (17) 산책과 자본주의, 늘봄, 2007

    Date2025.07.11 By장숙藏孰 Views92
    Read More
  20. (16) 사랑 그 환상의 물매, 마음산책, 2004

    Date2025.07.10 By장숙藏孰 Views6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