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5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상인 一味

이름 주어주지 않으면 없다는 말 사실일까?
십며칠 잇달아 온 나라가 열대야라는데, 내가 어리던 그 때는 열대야가 없었을까? 

어릴 적, 잠을 설칠 정도로 무더운 한여름 밤이면, 온 식구가 마당 평상에다 돗자리랑 요를 깔고 광목 홑이불을 덮고 잠을 자곤했다. 
그때 누워서 보았던 하늘의 영롱한 별들. 거기서 나온 별빛들이 내게로 쏟아지는 듯했다. 
그 밤들도 혹 열대야가 아니었을까, 비록 열대야라는 이름은 없었지만....

= 杜甫, 旅夜書懷(나그네의 밤 회포)

細草微風岸(세초미풍안) 

危檣獨夜舟(위장독야주)
강 언덕 여린 풀에 미풍이 불고 
곧게 솟은 돛단배 홀로 정박한 밤
星垂平野闊(성수평야활) 
月涌大江流(월용대강류)
별이 드리우니 평야가 넓다는 것이오
달이 일렁이니 큰강이 흐르고 있단 말
名豈文章著(명기문장저) 
官應老病休(관응노병휴)
이름이 어찌 문장으로 드러나랴 
늙고 병들었으니 벼슬길은  응당 끝
飄飄何所似(표표하소사) 
天地一沙鷗(천지일사구)
정처 없이 떠도는 내 신세 무엇과 같나 
천지간의 한 마리 갈매기라네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1. No Image new
    by 늑대와개의시간
    2025/08/15 by 늑대와개의시간
    Views 13 

    189회 속속,발제: '한나 아렌트, 전체주의를 넘어 정치의 길을 보다'

  2. No Image 15Aug
    by 유재
    2025/08/15 by 유재
    Views 21 

    유재통신(4) 정보과잉 시대: 현상과 대안

  3. 唐詩 一句一味(8) 君子意如何

  4. 나는 동무들을 "시간처럼" 대접한다 *출판사 제공 <동무론> 책소개

  5. 唐詩 一句一味(7) 江淸月近人

  6. 唐詩 一句一味(6) 星垂平野闊

  7. No Image 29Jul
    by 상인
    2025/07/29 by 상인
    Views 41 

    바로잡고 보태고 2 : ホルクハイマー, アドルノ

  8. 唐詩 一句一味(5) 獨釣寒江雪

  9. 唐詩 一句一味(4) 坐看雲起時

  10. 김애란 읽기(1) 어떻게 하면 돼요?

  11. No Image 13Jul
    by 상인
    2025/07/13 by 상인
    Views 58 

    바로잡고 보태고 : 1. ヴァルター・ベンヤミン

  12. No Image 13Jul
    by 상인
    2025/07/13 by 상인
    Views 41 

    바로잡고 보태고 - 시작하며

  13. 唐詩 一句一味(3) 但聞人語響

  14. 唐詩 一句一味(2) 只在此山中

  15. 唐詩 一句一味(1)

  16. 유재통신(3) ANT와 아이들(2) 무시무시하고-아름다운 비인간행위자, 버섯

  17. D - 1 조ㅇ남 그리고 독하와 상인

  18. D - 2 실무, 는길과 단빈과 유재

  19. D - 4 수ㅇ과 지린

  20. D - 5 숙비와 여일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 Next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