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308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제목을-입력해주세요_-001 (2).png002.png 003.png



 

 004.png

005.png

006.png

007.png

008.png

009.png

010.png

011.png

신규.png



013.png


014.png




 제목을-입력해주세요_-015.png


 * 강연 후기 전문은 유재의 블로그 https://blog.naver.com/arc2mog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
    장숙藏孰 2025.09.19 11:50


    강연 참석자 이ㅈ현 님의 후기입니다. 


    *

    "선생님 글을 읽으며 사반세기를 다 보낸 듯합니다. 언제던가요. 2012년 겨울, 직전 『기독교사상』에 연재했던 『당신들의 기독교』가 출간되고 이후 5년 가까이 “글 뒤에 숨은 글”(김병익)을 쓰신 적이 있었지요. (결코 ‘절필’이란 단어를 쓰고 싶진 않습니다.) 매년 책을 펴내던 작가가 글쓰기(책)를 멈출 때 독자는 으레, 그리 짐작합니다. 그럴 때면 『고전평설』이나 『보행』을 다시 읽을 수밖에요. 읽지도 않을 거면서 당시 그 숱한 출퇴근길 가방 안 『동무론』 또는 『사랑, 그 환상의 물매』는 제 동무가 되어주었습니다. 『집중과 영혼』이 나오기까지 중년의 사내에게 5년이란 시간은 결코 짧은 시간이 아닙니다. 농담이 아닌 게 선생님의 봄날이 간 건 아닐까, 그런 생각마저 들었습니다. ‘다시읽기’와 ‘들고다니기’의 완결편은 『봄날은 간다』였습니다. 5년 동안 쏟은 커피며 빗물 따위로 책은 너덜거렸고, 한 시인(봉주연)의 말(“우리의 건망증 때문에 내년에도 봄이 올 거예요”, 「신앙」)에 기대자면, 다섯 번의 봄을 그런 식으로 떠나보냈지요. 관훈갤러리 골목을 빠져나와 인사라운지 앞 간이벤치에 앉아 강연시간을 기다리며 구입한 시집(봉주연 『우리는 모두 이불에서 태어난걸요』)을 조금 읽었습니다. 시집을 읽는 동안 제 타임라인은 다시 2017년으로 향하고 전 경구 하나를 떠올려야 했습니다.
    새싹은 피어날 명분을 갖기 위해 새들이 씨앗을 숨겨놓는다는 걸 자주 잊어야 합니다.(“새들은 씨앗을 숨겨놓았다는 걸 자주 잊고/ 새싹은 피어날 명분을 갖습니다”, 봉주연 「신앙」) ‘새싹’과 ‘새’ 그리고 ‘씨앗’ 사이에 숨어 있는 함수를 찾아야 하는데 5년(2012-2017) 동안 그 셋은 각자도생했고 전 모르쇠로 일관해야 했습니다. 제가 겨우 찾아낸 ‘명분’이 ‘건망증’이였으니 오늘 구입한 봉주연의 시집을 읽으며(“우리의 건망증 때문에 내년에도 봄이 올 거예요”, 앞의 시) 의미도 모른 채 견딘 5년이란 시간이 ‘건망증’을 에두른, 실상 “알면서 모른 체하기”에 이르는 (적어도 제게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간이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 10월 18일(토) 인사동 강연, 라이얼 왓슨의 초자연론과 현명한 관념론의 길

    Date2025.10.07 By장숙藏孰 Views320
    Read More
  2. 사상이란 무엇인가 / 강연 후기

    Date2025.09.17 By장숙藏孰 Views308
    Read More
  3. 9월 13일(토) 인사동 강연, <사상이란 무엇인가: 빚진 정신의 감사와 마음의 길>

    Date2025.08.25 By장숙藏孰 Views474
    Read More
  4. <글쓰기의 인문학> 강연 문장들 & 후기

    Date2025.08.15 By장숙藏孰 Views620
    Read More
  5. 8월 9일(토) 인사동 강연,' 글쓰기의 인문학'

    Date2025.07.24 By장숙藏孰 Views730
    Read More
  6. '여자들의 공부론' 강연 풍경 & 문장들

    Date2025.07.02 By장숙藏孰 Views279
    Read More
  7. 6월 28일(토) 인사동 강연, '여자들의 공부론'

    Date2025.06.09 By[장숙藏孰] Views521
    Read More
  8. 5月 강연 후기,

    Date2025.06.04 By簞彬 Views396
    Read More
  9. 25년 하반기, 인사동 강연 일정

    Date2025.06.01 By[장숙藏孰] Views369
    Read More
  10. 선생님에게 (성적으로) 칭찬받았다는 것 정도로

    Date2025.05.25 By[장숙藏孰] Views251
    Read More
  11. 5月 인사동 강연, 일정 변경 *31일 토요일 오후 3시

    Date2025.05.22 By[장숙藏孰] Views209
    Read More
  12. 5月 인사동 강연, '윤석열 현상'과 한국적 교양의 실패

    Date2025.05.08 By[장숙藏孰] Views401
    Read More
  13. 개념으로 길을 열고, 시(詩)로써 누리다

    Date2025.04.24 By는길 Views410
    Read More
  14. 4월 장강 장소, <인사라운지> 오시는 길 안내 *사진첨부

    Date2025.04.13 By유재 Views573
    Read More
  15. 4월 19일 장강(인사동), "개념으로 길을 열고, 시(詩)로써 누리다"

    Date2025.04.05 By藏孰 Views445
    Read More
  16. 4월 장강

    Date2025.03.07 By簞彬 Views589
    Read More
  17. 2월, 서촌 장강 / 누적적 계기론

    Date2025.01.26 By簞彬 Views773
    Read More
  18. 25년 01월, 서촌장강 / 잔인하지않기’에서 신뢰까지

    Date2024.12.08 By孰匪娘 Views851
    Read More
  19. 11월, 서촌장강 / 해석하는 인간(homo interpretans)

    Date2024.11.14 By孰匪娘 Views735
    Read More
  20. 10월, 서촌장강 / 식당의 인문학

    Date2024.10.19 By孰匪娘 Views71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