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완성.png

  

    "이번 강의에서는 어리석음의 형식을 탐색합니다. 인간의 어리석음은 우선 어떤 형식 속에 있기 때문입니다. 형식의 우물에 빠져있기에, 나오기는 고사하고 그 사실을 깨단하기조차 어렵지요. 그야말로, 자기간섭의 역설에 먹혀 있는, ‘병 속의 파리와 같은 신세가 적지 않습니다. 형식()은 그 속에 명암과 예둔(銳鈍)을 동시에 안고 있지만, 어리석음이야말로 인간이라는 형식의 대표적인 주박(呪縛)입니다. 어리석음에 주목하는 것은 공부의 본령(本領)과 가치를 다시 새기고, 이를 자신의 인생을 구제하는 지혜와 힘으로 재구성하기 위해서입니다. 내부경쟁용의 기능이나 상징자본의 일종, 혹은 문화장식으로 전락한 작금의 인문학 풍토에서 송두리째 빠진 것은 자기구제의 공부입니다. 인생의 전부를 공부길로 여기거나 24시간 공부(無時也非工夫)를 말할 수 있다면, 스스로의 삶을 돌볼 수 없는 공부에 대체 무슨 뜻이 있을까요.

 

어리석음이 형식을 이루고, 그 형식의 힘으로 끝없이 어리석음을 반복하는 지성을, 나는 생각이라고 불러 왔지요. 그러므로 생각은 공부가 아니라는 내 지론은 에고의 강박적인 자기되먹임 형식을 해체하려는 시도였습니다. 긴 세월 내가 즐겨온 산책이라는 메타포는 바로 이 비평적 실행을 가리킵니다. 모쪼록 이 짧은 시간을 더불어 나눔으로써 어리석음의 고리를 끊고 자기만의 자유를 찾아가는 공부길에 좋은 실마리가 생기기를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5월 24일(토) 인사동 강연, '윤석열 현상'과 한국적 교양의 실패 updatefile [장숙藏孰] 2025.05.08 113
25 4월 장강 장소, <인사라운지> 오시는 길 안내 *사진첨부 file 유재 2025.04.13 277
24 4월 19일 장강(인사동), "개념으로 길을 열고, 시(詩)로써 누리다" file 藏孰 2025.04.05 296
23 4월 장강 簞彬 2025.03.07 382
22 2월, 서촌 장강 / 누적적 계기론 簞彬 2025.01.26 539
21 25년 01월, 서촌장강 / 잔인하지않기’에서 신뢰까지 1 孰匪娘 2024.12.08 639
20 11월, 서촌장강 / 해석하는 인간(homo interpretans) 孰匪娘 2024.11.14 545
19 10월, 서촌장강 / 식당의 인문학 孰匪娘 2024.10.19 522
18 9월, 서촌 강의/ 조각난 지혜로 세상을 마주하다 file 孰匪娘 2024.09.04 715
17 8월, 서촌 강의/ ‘자득(自得)과 나의 공부길’ 孰匪娘 2024.08.02 747
16 2024년 7월 선생님 강의 장독藏讀(38회) 입니다. 孰匪娘 2024.06.26 772
15 장독藏讀(37회)_ 후기 1 孰匪娘 2024.06.26 798
14 2024년 6월 선생님 강의 장독藏讀(37회)입니다. 孰匪娘 2024.05.22 765
13 2024년 5월, 선생님 강의, 장독藏讀(36회)입니다. 1 file 孰匪娘 2024.04.07 743
12 장독藏讀(35회) 후기 2 file 孰匪娘 2024.04.07 745
11 2024년 3월, 선생님 <서숙> 강연, 藏講(35회) 입니다. 1 file 孰匪娘 2024.03.12 669
10 2024년 2월 k 강연(藏講 34회) file 찔레신 2024.02.18 694
9 藏孰江(10) 합리성과 자유, 혹은 商人과 匠人 file 遲麟 2019.09.20 1637
8 藏孰江(9) 2019년8월23일(금) <글쓰기의(와) 철학: 내 글쓰기의 이력과 그 이후> 1 file 藏孰 2019.08.14 38564
» 藏孰江(8) 2019년7월26일(금) <생각의 어리석음과 산책의 현명함> 1 file 藏孰 2019.07.16 1302
Board Pagination Prev 1 ...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