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0.01.06 13:23

踏筆不二(5) 復習

조회 수 1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크리토프로스, 더 가깝고 더 확실하고 더 아름다운 길은 자신이 어떤 한 길에 우수하다고 인정되고 싶고, 사실 뛰어난 인간이 되도록 노력하는 일이네. 인간의 세상에서 이야기되고 있는 이 덕을 잘 생각하고 반성해 본다면 그 일체가 면학과 복습에 의해서 증대될 수 있는 것임을 자네는 알 수 있을 것이네.  

크세노폰 <소크라테스 회상>, 111


시독의 “한문강독(書簡文과 우리 漢詩)”시간이었다. 선생께서 “示”를 물으셨다. 서간문에서 이 글자는 어떤 뜻으로 쓰이는가 물으셨다. 이미 배운 것이라고도 덧붙이셨다. 학생들은 아무도 대답하지 못하였다. 선생께서는 가만히 분필을 집어들어 칠판 귀퉁이에 아주 작은 사람을 그리셨다. 위 사진과 같은 그림을 그리신다. 이 그림은 그러니까 “학생들이 복습을 안 해서 선생님이 열 받았다.”는 표시이다.


서간문에서의 示는 “상대방이 지난 번 편지로 알려주신” 내용을 언급할 때 쓰이는 글자이다. 소크라테스도 강조하고 있는 복습! 을, 서간문에서는 溫習(온습)이라고 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6 125회 별강 <소송하는 여자> 燕泥子 2022.04.01 182
255 130회 강강, <허리편> 수잔 2022.10.19 160
254 131회 별강_ 이동할 수 있는가 未散 2022.06.25 194
253 132회 별강 <낭독의 공부> 簞彬 2022.07.07 175
252 133회 별강 <그대라는 詩> 윤경 2022.07.22 145
251 134회 별강 <거울방을 깨고 나아가자> 수잔 2022.08.05 167
250 135회 별강 <두려워하는 것과 기쁘게 하는 것은 만난다> 2 늑대와개의시간 2022.08.19 161
249 137회 별강 <40년 동안의 여성 대학진학율과 혼인율의 통계를 통해 본 여성의 변화> 1 燕泥子 2022.09.17 282
248 138회 별강 <연극적 삶의 진실> 1 내이 2022.09.30 170
247 138회 자득문, <천(淺)하고 박(薄)한 자의 기쁨(悅)> 수잔 2022.10.19 272
246 139회 강강. <아직 끝나지 않은 싸움> 늑대와개의시간 2022.10.19 185
245 139회 별강 <리비도적 애착관계를 넘어 신뢰의 관계를 맺을 수 있을까> 1 簞彬 2022.10.13 260
244 145회 속속 별강문 게시 1 유재 2023.01.06 164
243 147회 속속(2023.02.25.) 후기 file 윤경 2023.03.03 149
242 148회 속속(2023/03/04) 후기 5 윤경 2023.03.16 193
241 149회 속속 연강글-모든 사진이 '푼크툼'이 되는 순간 윤경 2023.03.18 107
240 149회 속속(2023/03/18) 후기 file 윤경 2023.04.13 97
239 150회 속속(2023/04/01) 후기_“저 사람을 따라가야 한다.” file 윤경 2023.04.14 151
238 151회 속속(2023/04/15) 후기_“너무 착한 시 아닌가요?” (K선생님) 1 고하(皐霞) 2023.04.28 197
237 153회 속속(2023/05/13) 후기 file 고하(皐霞) 2023.05.26 105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