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0.02.09 17:09

9살 서율이의 10계

조회 수 233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그림1.jpg



 서율아, 왜 언니들이 서율이랑 방을 같이 안 쓰려는 것 같아?”

  “... 내가 더럽게 써서?”

 

책상 셋이 나란히 함께 사용하던 방에서 제일 먼저 큰언니가 나갔고, 얼마 안 되어 둘째 언니도 침대 방으로 옮겨갔다. 서율이는 정리 안 하고 지저분하다는 죄로 가만히 앉아 자기만의 방을 갖게 된 것이다. 하지만 머잖아 이 일의 엉뚱함을 눈치챈 언니들은 서율이를 닦달했고, 죄지은 자가 책상을 옮겨 나갈 것을 종용하였다. 그렇게 언니들은 각자의 방을 얻었고 그렇게 서율이의 책상은 아빠 서재 한 켠으로 옮겨졌다.

그러던 어느 날, 나는 여전히 흐트러져 있는 서율이의 책상을 보며얘 나름의 질서가 있을지도 모른다라는 이해의 시늉을 하다가, 책상 모퉁이에서 종이 한 장을 발견했는데... 


 

그림2.jpg  

>>1. 내가 어지른 것 청소하기 

    2. 내가 청소하다가 나가지 않기

    3. 자기 물건 잘 챙기고 잘 정리하기

    4. 자기 자리에 두기

    5. 할 거 하고 놀기

    6. 정리 하루에 10분씩 아니면 5분씩 정리하기

    7. 놀지만 말고 정리하기

    8. 숙제하고 놀지말고 정리하고 하기

    9. 물건 너무 많이 사용하지 않기

    10. 자기 물건 없나 살피기

 

(뒷장)

 그림3.jpg

  >> 안 하면 쫓겨나요



방에서 내쫓긴 일이 서율이에게 비평이 된 것일까?

그보다 더 중요한(?) 질문은 ,

그녀의 십계와 여전히 흐트러진 책상의 간극은 어떻게 극복 될 것인가?

 


  • ?
    찔레신 2020.02.09 17:56

    *이 아이의 10계를 일람하면, 70% 정도가 결국 '정리하기'로 귀결되거나 이와 관련된다. 물론 이런 분석 자체가 이미 '어른의 것'이다. 모든 분석은 범주와 개념의 '놀이'이므로, 아이로 살아간다는 것은 필경 다른 범주(categories)와 개념들로써 자신의 세계를 구성하는 실천인 셈이다. 그러므로 타자를 이해한다는 것은, 마음이 모이거나 나뉘는 낯선 방식들을 향해서 육박해가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6 < 86회 별강> 타자, 그 낯섦의 구원 해완 2020.09.25 144
295 <107회 별강 > 1 해완 2021.07.22 214
294 <82회 별강> 여자의 말을 배운다는 것 燕泥子 2020.08.01 192
293 <83회 별강> 능력주의 신화는 아직도 진행 중? 冠赫 2020.08.14 191
292 <84회 별강> 2년 6개월 공부의 성과와 위기 1 懷玉 2020.09.03 482
291 <89회 속속 별강> ‘約已, 장숙(藏孰) 가다’ 약이 2020.11.12 286
290 <90회 속속 별강> 말(言)을 배운다 侑奏 2020.11.27 183
289 <91회 별강>집중에 들어서다-낭독하는 삶 효신 2020.12.11 165
288 <藏孰> 천안시대, 晦明齋를 열며 2 file 찔레신 2019.07.11 337
287 <동무론>, 전설의 책 ! 3 file 찔레신 2022.10.04 358
286 <장숙>, 2023년 (1-3) file 찔레신 2022.12.26 257
285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청라의 독후감 1 찔레신 2023.01.03 305
284 <적은 생활...> 서평, 중앙일보 양성희 기자 찔레신 2022.12.12 194
283 <조선, 1894 여름> 의제 지린 2020.07.30 55
282 <최명희와 『혼불』제1권> 발제문을 읽고 2 file 는길 2024.03.29 138
281 <틈셋학교>를 연기합니다, file 희명자 2020.02.21 296
280 '글쓰기'라는 고민 해완 2022.01.05 405
279 '밟고-끌고'의 공부길,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lector 찔레신 2023.02.05 124
278 '실력 있음"이 죄가 될 때 1 해완 2020.06.24 165
277 (155회 속속 硏講) 가장자리에서 지린 2023.06.10 21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