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8.10.01 09:23

웃은 죄

조회 수 23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로렌츠는 인간의 웃음도 간접적인 공격성의 한 형태로 보고 있습니다. 한 무리의 사람들이 어떤 사람을 보고 웃는다면 그것은 위험하지 않게 희생양을 지명하는 하나의 형식이라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곧이어 그 무리의 구성원들 사이의 강한 연대감인 감정이입의 사슬이 나타납니다.


그것이 바로 우리는 잘 모르는 비교행동학적 기원의 메커니즘입니다. "헤로데는 자기 경비병들과 함께 예수를 조롱하며 모욕을 준 다음 화려한 옷을 입혀 빌라도에게 돌려보냈다. 헤로데와 빌라도가 전에는 서로 반목하고 지냈지만 바로 그날 다정한 사이가 되었다." (<누가복음>23:12)라는 구절은 좋은 예입니다. 상징적인 희생양이든 실제의 희생양이든 간에 공동의 희생양은 공범들 사이를 가까워지게 해줍니다. 


르네 지라르 지음 김진식 옮김, <문화의 기원> 155


*

이 구절을 읽은 다음 나는 읽기를 멈추고 나의 웃은 죄를 가만가만 따져보았다. 가만가만 따져보는 것으로 나의 죄 있던 어떤 웃음들은 빈약한 변명의 차양들을 벗어버리고 분명하게 죄의 그늘을 드리우게 되었다. 나는 다시 한 번 독신(獨身)의 윤리를 사유할 수 있게 되었고, 걸어, 그늘을 벗어나게 되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진료실에서의 어떤 기억 2 해완 2020.05.12 145
75 길속글속 154회 연강(硏講) <어긋냄의 이야기> 燕泥子 2023.05.27 144
74 133회 별강 <그대라는 詩> 윤경 2022.07.22 143
73 < 86회 별강> 타자, 그 낯섦의 구원 해완 2020.09.25 143
72 踏筆不二(14) 瑞麟 1 file 지린 2020.06.09 143
71 [나의 지천명]_1. 연재를 시작하며 2 燕泥子 2020.05.31 142
70 寂周經, 혹은 몸공부에 대하여 (1-6) 1 찔레신 2024.05.16 141
69 마테오 리치(Matteo Ricci) file 희명자 2020.06.13 141
68 踏筆不二(연재예고) file 遲麟 2019.10.13 138
67 虛室'' essay_2. 그 사이에서 2 허실 2019.11.09 136
66 <최명희와 『혼불』제1권> 발제문을 읽고 2 file 는길 2024.03.29 135
65 근사(近思) 지린 2022.03.12 135
64 踏筆不二(11) 米色 2 file 遲麟 2020.04.01 135
63 164회, 角端飛話 (1-6/계속) 찔레신 2024.06.03 133
62 160회 속속 발제문] 최명희와 『혼불』제1권 3 유재 2024.03.22 133
61 남성성과의 화해 懷玉 2020.09.11 133
60 [一簣爲山(10)-서간문해설]寄亨南書 file 燕泥子 2022.03.22 132
59 장독후기(22회) 2023/3/26 1 簞彬 2023.04.08 130
58 산책_ 외출1 1 肖湛 2020.06.01 130
57 踏筆不二(0) 2 遲麟 2019.10.22 130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