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8.10.01 09:23

웃은 죄

조회 수 23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로렌츠는 인간의 웃음도 간접적인 공격성의 한 형태로 보고 있습니다. 한 무리의 사람들이 어떤 사람을 보고 웃는다면 그것은 위험하지 않게 희생양을 지명하는 하나의 형식이라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곧이어 그 무리의 구성원들 사이의 강한 연대감인 감정이입의 사슬이 나타납니다.


그것이 바로 우리는 잘 모르는 비교행동학적 기원의 메커니즘입니다. "헤로데는 자기 경비병들과 함께 예수를 조롱하며 모욕을 준 다음 화려한 옷을 입혀 빌라도에게 돌려보냈다. 헤로데와 빌라도가 전에는 서로 반목하고 지냈지만 바로 그날 다정한 사이가 되었다." (<누가복음>23:12)라는 구절은 좋은 예입니다. 상징적인 희생양이든 실제의 희생양이든 간에 공동의 희생양은 공범들 사이를 가까워지게 해줍니다. 


르네 지라르 지음 김진식 옮김, <문화의 기원> 155


*

이 구절을 읽은 다음 나는 읽기를 멈추고 나의 웃은 죄를 가만가만 따져보았다. 가만가만 따져보는 것으로 나의 죄 있던 어떤 웃음들은 빈약한 변명의 차양들을 벗어버리고 분명하게 죄의 그늘을 드리우게 되었다. 나는 다시 한 번 독신(獨身)의 윤리를 사유할 수 있게 되었고, 걸어, 그늘을 벗어나게 되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 길속글속 154회 연강(硏講) <어긋냄의 이야기> 燕泥子 2023.05.27 143
14 [一簣爲山(22)-고전소설해설] 崔陟傳(1) 1 file 燕泥子 2023.05.30 143
13 장독후기(26회) 2023/05/21 簞彬 2023.06.03 191
12 (155회 속속 硏講) 가장자리에서 지린 2023.06.10 205
11 [一簣爲山(23)-고전소설해설] 崔陟傳(2) file 燕泥子 2023.06.11 247
10 이번 교재 공부를 통하여, 1 file 는길 2024.02.07 269
9 속속 157~159회 교재공부 갈무리] 촘스키-버윅 vs. 크리스티안센-채터, 혹은 구조와 게임 1 유재 2024.03.05 146
8 160회 속속 발제문] 최명희와 『혼불』제1권 3 유재 2024.03.22 130
7 <최명희와 『혼불』제1권> 발제문을 읽고 2 file 는길 2024.03.29 130
6 161회 속속 낭영과 NDSL사이] 짧은 베트남 여행기 - 그들은 화를 내지 않는다. 유재 2024.04.12 81
5 訓民正音, 혹은 세종의 고독 (1-5) file 찔레신 2024.04.16 187
4 162회 속속 발제문] 공연히, 좀 더 생각해보기: 한자를 정확히 ‘발음한다’는 것은 왜 그토록 중요했을까? 유재 2024.04.26 100
3 寂周經, 혹은 몸공부에 대하여 (1-6) 1 찔레신 2024.05.16 125
2 4月 동암강독 1 file 는길 2024.05.21 101
1 한국어의 기원, 遼河문명, 그리고 한국 상고사의 과제 (6/계속) 찔레신 2024.05.23 156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