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0.03.03 11:42

踏筆不二(9) 돌

조회 수 11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돌.jpg


*

지난 3월 2일 時讀에서 이상적(李尙迪)(1803~1865)의 詩를 배웠습니다. 이상적은 12차례나 중국을 왕복했던 譯官이었으며, 추사 金正喜의 門人이었습니다. 역관이었으니, 외국어에도 능통했던 사람이었습니다. 이 시는 철종 12년(1861년)에 쓴 시입니다. 의 공적비에 얽힌 세태를 한탄하는 詩라고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去思橫斂刻碑錢

編戶流亡孰使然

片石無言當路立

新官何似舊官賢


『(恩誦堂集)』券8


떠난사람을사모하는비를새기려고돈을함부로긁어모은다네

호적에편입되었던집들이흘러다니는유민되었네누가그렇게만들었나

편석은말없이길을막고서있네

신관은어찌그리도구관을닮아현명한지


지난 장숙행 때 들렀던 [屛山書院] 입구에는 새로운 비석이 하나 세워져 있었습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는 사실을 알리는 비석이었습니다. 저는 그 비석 앞에서 한참을 서 있었습니다. 어쩌면 제게는 [거석을 세우는 꿈]이 있었던 같았습니다. 그 꿈의 시원은 장길산이나 임꺽정의 이야기를 읽은 탓인데, 그런 이야기의 결말쯤에 가서는, 그 유민들을 이끌었던 리더들 중 하나인 힘 센 장수가, 그들이 마침내 세운 마을의 입구에 큰 돌을 하나 세우는 장면입니다. 

그 돌은 흰 돌이었습니다. 장수는 돌을 세워놓았습니다.


*

이상적의 시를 공부하면서 저의 이러한 [원형적인 꿈]은 임꺽정 무리의 꿈일 뿐만 아니라 그만그만한 구관사또들이 유민을 만들어내면서 이땅 여기저기에 흩뿌려놓은 꿈이였기도 하였다는 것을 짐작하고는, 쉽게, 빠르게 [비석의 꿈]을 버렸습니다. 다만, 돌은 제 책상 위에 있는 둥글고 작은 [돌]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6 여성 file 형선 2019.03.13 195
275 방학 file 형선 2019.03.27 182
274 다시 기억하며 file 형선 2019.04.10 154
273 들을 수 없음 1 file 형선 2019.04.25 204
272 부재(不在)하는 신 1 file 형선 2019.05.22 209
271 정체성과 수행성 2 file 형선 2019.06.05 240
270 花燭(화촉) file 형선 2019.06.20 464
269 <藏孰> 천안시대, 晦明齋를 열며 2 file 찔레신 2019.07.11 337
268 惟珍爱萬萬 3 燕泥子 2019.07.18 262
267 남성과 여성의 차이에 관한 불편함 1 燕泥子 2019.07.31 201
266 Dear 숙인, 10 file 형선 2019.08.06 335
265 동시 한 편 소개합니다 1 遲麟 2019.09.30 128
264 진실은 그 모양에 있다 file 遲麟 2019.10.02 121
263 Do not be surprised if they try to minimize what happened/ Abigail Van Buren on Oct 2, 2019 1 찔레신 2019.10.03 146
262 「성욕에 관한 세편의 에세이」에 대한 단상 9 허실 2019.10.07 276
261 踏筆不二(연재예고) file 遲麟 2019.10.13 138
260 낭독일리아스_돌론의 정탐편 1 허실 2019.10.17 123
259 踏筆不二(0) 2 遲麟 2019.10.22 130
258 踏筆不二(1) 3 file 遲麟 2019.10.24 166
257 도로시(道路示) 8 file 敬以(경이) 2019.10.29 18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