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2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k님과 30년 전 스승과 제자로 인연이 있었던 ㅈㅅㄱ교수님이 차방담소에 함께 하셨다. 말이 오가는 사이가 길어지고 밤의 소리에 귀 기울이며 고요해지는 순간을 교수님은 낯설어 하셨다. 담소는 서로 웃으며 이야기함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장숙의 차방담소는 談笑(담소)가 아닌 淡素(담소)이므로 소박하고 깨끗한 비어 있음이어도 좋다. 여백은 비어있음으로 자연스럽다. 어색하여 채우려는 순간, 이미 있었던 꼴들은 더 어지러워지고 제 빛을 잃는다. 그러했던 적이 무수하다. 가리기 위해 덧붙이고, 덧붙여 본래의 의미도 잃어버린 채, 허상(虛像)만 무성하게 피어나던 상처의 자리들. 허실생백(虛室生白)이라 했던가, 방이 비면 빛이 쏟아져 들어와 환하게 밝아진다고, 무상무념으로 진리에 도달하기는 이를 수 없는 진경(眞境)일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기 각자의 빛으로 둘러앉은 사람들, k님과 제자님의 문틈으로 흰말이 빠르게 지나가고(若白駒之過䧍), 빈 자리에 가을밤은 꾸밈없이 내려 앉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6 139회 강강. <아직 끝나지 않은 싸움> 늑대와개의시간 2022.10.19 187
155 아직도 가야 할 길... 오수연 2018.10.26 188
154 [一簣爲山(12)-서간문해설]與金惇敘 1 file 燕泥子 2022.04.18 188
153 千散族和談 1. 세월, 1880년 file 肖澹 2022.06.01 188
152 만세! 만세! 만만세!! 실가온 2022.02.26 189
151 별강 실상사의 봄 零度 2022.05.13 189
150 [一簣爲山(16)-서간문해설]答洪判官林堂君遇書 file 燕泥子 2022.07.11 189
149 비 오는 월요일의 단상 2 해완 2020.04.20 190
148 茶房淡素 (차방담소)-8-In vino veritas file 효신 2021.05.02 190
147 도로시(道路示) 8 file 敬以(경이) 2019.10.29 191
146 踏筆不二(8) 蓮姬 2 file 遲麟 2020.02.19 191
145 學於先學1_ 소크라테스와 그의 말(語) 1 肖澹 2020.08.28 191
144 104회 속속 별강 <What women want> 1 file 燕泥子 2021.06.12 191
143 산행 는길 2022.03.16 191
142 산성산책 1 file 燕泥子 2022.08.27 192
141 <82회 별강> 여자의 말을 배운다는 것 燕泥子 2020.08.01 193
140 148회 속속(2023/03/04) 후기 5 윤경 2023.03.16 193
139 <적은 생활...> 서평, 중앙일보 양성희 기자 찔레신 2022.12.12 195
138 한국어의 기원, 遼河문명, 그리고 한국 상고사의 과제 찔레신 2024.05.23 195
137 여성 file 형선 2019.03.13 196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