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2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87회 속속에서 함께 읽을 우리한시는 연암(燕巖)박지원(朴趾源) (1737, 영조13년~1805, 순조5년)의 시, <燕巖億先兄연암골에서앞서간형님을생각하며>입니다.


我兄顔髮曾誰似

每憶先君看我兄

今日思兄何處見

自將巾袂映溪行

朴趾源<燕巖先兄>

나의형님얼굴과수염은일찍이누구를닮았던가

매번먼저가신아버지생각나면나의형님을보았는데

이제형님이그리우니어느곳을볼까

옷을갖춰입고시내에나가스스로를비춰보려하네

박지원<제비바위골에서앞서간형님을생각하며>


*

연암의 시는 “스스로를 비춰보려는 시적 자아”가 등장하고, 개인의 정서를 노래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한시들이 자연을 노래하고, 어느 정도 일정한 투식(套式)아래 있었다면, 연암의 시는 그 투식의 덮개를 송곳처럼 뾰족하게 찌르고 나와 있습니다.


*

시에는 巾袂(건몌)라는 말이 있습니다. 몌(袂 )는 옷소매를 뜻합니다. 이 말, 건몌의 의미를 헤아려보기 위해서, 사전을 뒤져 다음 두 가지 말을 참조해보았습니다. 우선, 巾依(건의)라는 말이 있습니다. 두건(頭巾)을 쓰고 옷을 입음, 즉 복장을 정제(整齊,격식에 맞게 차려입고 매무시를 바르게 함)한다는 말입니다. 또, 袂別(몌별)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소매를 나눔, 즉 이별한다는 말입니다. 옛사람들의 소매가 넓어서인지, 헤어지기 전 서로의 옷소매를 나누어 잡고, 이제 헤어지면 언제 만날 수 있을까 모르는 서운함을 나누고, 눈물을 흘리며, 다른 쪽 소매를 적시는 장면이 옛 이야기에 종종 등장합니다. 




  1. [一簣爲山(10)-서간문해설]寄亨南書

  2. 虛室'' essay_2. 그 사이에서

  3. 踏筆不二(11) 米色

  4. 吾問(3) 언어화

  5. No Image 20Sep
    by 효신
    2020/09/20 by 효신
    Views 136 

    茶房淡素 (차방담소)-2

  6. 踏筆不二(16) 耿耿

  7. No Image 17Feb
    by 燕泥子
    2023/02/17 by 燕泥子
    Views 133 

    길속글속 147회 '말하기 심포지움' 별강문 --- 잘 말하기 위한 노력들

  8. 산책_ 외출1

  9. 踏筆不二(0)

  10. 매실청 개시 기념,

  11. 우리의 아이

  12. 동시 한 편 소개합니다

  13. 茶房淡素 (차방담소)-5-달의 집으로 가다

  14. 횡단보도를 마주하고

  15. '밟고-끌고'의 공부길,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lector

  16. No Image 12Oct
    by 지린
    2020/10/12 by 지린
    Views 127 

    踏筆不二(21) 自將巾袂映溪行

  17. No Image 30Oct
    by 현소자
    2020/10/30 by 현소자
    Views 126 

    장면과 장면 사이의 개입

  18. No Image 06May
    by 토우젠
    2020/05/06 by 토우젠
    Views 126 

    녹색당 생각

  19. 진실은 그 모양에 있다

  20. 낭독일리아스_돌론의 정탐편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