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0.06.24 11:51

시읽기(80회) (1-5)

조회 수 225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Song of the Open Road, 1


Walt Whitman - 1819-1892

 

Afoot and light-hearted I take to the open road,

Healthy, free, the world before me,

The long brown path before me leading wherever I choose.

 

Henceforth I ask not good-fortune, I myself am good-fortune,

Henceforth I whimper no more, postpone no more, need nothing,

Done with indoor complaints, libraries, querulous criticisms,

Strong and content I travel the open road.

 

The earth, that is sufficient,

I do not want the constellations any nearer,

I know they are very well where they are,

I know they suffice for those who belong to them.

 

(Still here I carry my old delicious burdens,

I carry them, men and women, I carry them with me wherever I go,

I swear it is impossible for me to get rid of them,

I am fill’d with them, and I will fill them in return.)



新しい詩

谷川俊太郎 (1931 ~ )


ぼくの新しい詩が讀みたいんだって?

ありがとう

でも新しい詩ならいつだって

きみのまわりに漂ってるよ


きみは言葉を探しすぎてる

言葉じゃなくたっていいじゃないか

目に見えなくたって

耳に聞こえなくたっていいじゃないか


歩くのをやめて

考えるのをやめて

ほんのしばらくじっとしてると


雲間の光がきみを射抜く

人の気持ちがきみを突き刺す

オーロラの色がきみに感染する


きみは毎朝毎晩死んでいいんだ

新しい詩をみつけるために

むしろ新しい詩にみつけてもらうために


나의 생가

김춘수(1922-2004)

아침인데 어머니는

도채비꽃*을 보았다고 하셨다. 

마당 한쪽에

키 작은 어린 앵두나무가 한 그루

수주운 듯 서 있었다. 

그날은

대낮에 내 머리 위에서 

기왓장 우는 소리를 나는 들었다.

축담에다 대고 쏴 쏴

누가 모래를 퍼붓는데 모래는

보이지 않았다.

해가 지자 어머니는 또

배꽃이 하얗게 소복을 하고

뒤뜰 우물가로 사라져 가는 것을 

보았다고 하셨다.

아버지가 계시는 사랑채에서는

늙은 배롱나무가 하루 온종일 혼자서

히죽히죽 웃고만 있었다. 


*도깨비꽃

시집<달개비꽃>(2004년 현대문학출간)수록


<半月>李亮淵

 

玉鏡磨來掛碧空  

明光正合照粧紅

宓妃織女爭相取  

半在雲間半水中

 


秋日行村路[qiūrì xíng cūn lù]

樂雷發[lèléifā]


兒童籬落帶斜陽

értóng líluò dài xiéyáng

豆莢薑芽社肉香

dòujiá jiāng yá shèròu xiāng

一路稻花誰是主

yīlù dàohuā shuí shì zhǔ

紅蜻蛉伴綠螳螂

hóng qīnglíng bànlǜ tángláng 







  • ?
    지린 2020.06.30 14:02
    해완의 이번 속속 불참으로 일본어 시 <新しい詩>는 다음 81회 속속으로 이월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6 속속(42회), 2018년 12월 15일 6 file 찔레신 2018.12.03 534
365 쪽속(5회), 송년회 5 file 찔레신 2018.12.04 973
364 시읽기(42회) (1-9) 1 찔레신 2018.12.06 6573
363 <밈>, 수전 블랙모어 1 file 찔레신 2018.12.06 409
362 2018년 12월 29일, 속속(43회) 6 찔레신 2018.12.17 481
361 시읽기(43회) (1-7) 遲麟 2018.12.21 23204
360 2019년 1월 19일 속속(44회) 5 찔레신 2018.12.31 448
359 시읽기(44회) (1-8) 遲麟 2019.01.01 1926
358 쪽속(6회), <아도르노, 문화비평과 부정변증법> 2 file 찔레신 2019.01.14 519
357 <物化, 인정이론적 탐구> file 찔레신 2019.01.18 531
356 시읽기(45회)(1-8) 遲麟 2019.01.22 1171
355 2019년 2월 2일 속속(45회) 5 찔레신 2019.01.22 466
354 2019년 2월 16일 속속(46회) 6 file 찔레신 2019.02.05 486
353 쪽속(7회), 2019년 2월 23일 <벤야민, 산책자(flâneur)와 변증법적 이미지> 2 file 찔레신 2019.02.05 544
352 시읽기(46회)(1-7) 遲麟 2019.02.08 379
351 속속(47회), 2019년 3월 2일 9 찔레신 2019.02.18 557
350 시읽기(47회) (1-8) 遲麟 2019.02.19 850
349 <錦溪筆談> 2 file 찔레신 2019.02.20 379
348 게오르그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file 찔레신 2019.02.26 393
347 시 읽기 (48회) (1-8) 遲麟 2019.03.05 50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0 Next
/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