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684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오ㅅㅇ님, 담연,  김ㅇㅇ님, 회옥, 희명자가 모였습니다. 
<집중과 영혼>을 426쪽까지 읽었고, <비평의 숲과 동무공동체>는 310쪽까지 읽었습니다.
*계획보다 한 주 미뤄서,  6월30일(화)부터 <인간의 글쓰기>낭독을 시작합니다.


* 김ㅇㅇ님이 선택한 암기 문장입니다.
[사람은 자기혼자서 주체가 될 수 없으며 오직 대화상대들과의 관계속에서만 주체가 된다.]
(<집중과 영혼> 418쪽에 인용된 Taylor의 문장)


/
방향도 없이 관계도 맺지 못한 채 '자동화된 에너지'에 스스로 사로잡힌 모습은, '죄'라는 무시무시하고 오해가 잦은 이름을 동원하지 않더라도 현 사회의 갖은 병리 현상을 밝히는 데 꽤 유용해 보인다. 전술했듯이 '자동화된 에너지(automatized energy)'는, '타인을 마치 재료인 듯 여기면서 진정한 관계를 외면한 채 혼자 힘으로 자신의 세상을 제작해내려는 욕심이자 환상'(아렌트 1996, 250)을 불러일으킨다. 이는 간단히, 인간에게 요구되는 가장 기본적인 윤리인 '타자에 대한 미안함', 즉 존재론적 겸허를 망각해버린 것에 다름 아니다. (<집중과 영혼>, 422쪽)


(헤겔처럼) 마치 거대한 변증법적 순환의 운동 그 전체 속에서야 신(神)의 무늬를 읽을 수 있듯이, (짐멜의 말처럼) 영혼이 자신으로부터 객관적 실재를 거쳐 다시 자신에게로 복귀하는 길을 통해서 자아의 통일적 완성에 이른다고 하듯이, 혹은 (사르트르 식으로 말해서) 어느새 내 존재의 진실을 읽어내고 있는 타인들의 인식들을 모짝 내 의식의 지향성 속에 재통합시키는 즉자-대자적 존재구성 속에서야 어떤 구원을 희망할 수 있듯이, 오직 가장 낮은 자리에서만 보이는 테크노피아의 무상성(無常性)을 거쳐 되돌아오는, 그래서 맑게 슬퍼진 영혼이야말로 이후의 인문학적 주체가 된다. (<비평의 숲과 동무공동체>,291쪽)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 徐書喜 file 희명자 2019.10.22 1322
23 10월 29일, 서서희 file 희명자 2019.10.29 1249
22 11월 5일, 서서喜 file 희명자 2019.11.05 930
21 11월 19일, 서서희 file 희명자 2019.11.20 210
20 11월 26일, <차분하다> <말의, 어떤 쓸모> file 희명자 2019.11.27 293
19 12월 3일, <리비도적 기원> <동무> file 희명자 2019.12.04 314
18 12월 10일, <훈육> <가족주의> file 희명자 2019.12.16 255
17 12월 17일, <신의 운명> <생활양식의 연대> file 희명자 2019.12.24 257
16 12월 24일, <대상 선택Objektwahl> <고백> file 희명자 2020.01.03 302
15 2020년2월25일,<不二> *2주 방학 1 file 희명자 2020.02.25 266
14 3월 17일, <愚公移山>, <이유 없는> file 희명자 2020.03.17 85
13 3월 24일, <인간의 '몸'> <어울림의 지혜> file 희명자 2020.03.24 1203
12 3월 31일, <생산적 퇴행> <공동체를 실천하는 이들> file 희명자 2020.03.31 1191
11 4월 7일, <탈자아화하는 경향> <대화의 사건성> file 희명자 2020.04.08 1204
10 4월 14일, <변화> <어리눅기> file 희명자 2020.04.15 1201
9 4월 21일, <長遷而不反其初則化矣> 1 file 희명자 2020.04.22 1227
8 4월 29일, <축적된 집중의 실행> file 희명자 2020.05.07 1229
7 5월 12일, <타자들의 세계> <풍경은 상처(기원)를, 그래서 윤리를 숨기며> 1 희명자 2020.05.16 8782
6 5월 19일, 고다와루(拘泥る) 1 file 희명자 2020.05.26 1455
5 5월 26일, 집중이 불러오는 인간의 새로운 자리 1 file 희명자 2020.05.26 1590
Board Pagination Prev 1 ...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