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376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언시 어찌시장이.jpg언시.jpg

언시(焉市)


시숙물지언시불창(時熟物至焉市不創)
때가 익고 물건이 오니 어찌 시장이 열리지 않겠는가.


이를 줄여서 숙인언시(孰人焉市)라고 부를 수 있고, 그 뜻은 (누구의 어찌 시장)(숙인의 어찌 시장), 입니다.

간편하게는 다시 이를 줄여서 언시(焉市, 어찌 시장이!)라고 부르면 되겠군요.

누구의 어찌 시장을 줄여, <누찌장>으로 불러도 좋습니다.      -k님

 


-----------------------------------------------------------------------------------------


공부자리가 열리는 날, 장숙의 차방 한 켠에는 숙인들의 옛 물건들로 채워진 작은 벼룩시장 언시(焉市)가 섭니다.
"갈수록 더 많은 희생물들을 죽였던 아스텍족과 흡사하게, 지구의 자원을 게걸스럽게 먹어치우(르네 지라르 『문화의 기원』104쪽)"고,
"한손으로 물건을 사고,  다른 손으로 내던지(르네 지라르 『문화의 기원』105쪽)"며 즐거웠던 우리는 문득, 
그 행렬에서 조용히 빠져나와 '어찌 언(焉)'이 이끄는 사잇길로 나섰습니다.

  
'어찌 언(焉)'은,  아직은 속죄도 반칙이라며 그저 걸어보라고, 걷다보면 때가 익어 '되어' 있을 것이라고 일러줍니다.

물론,  '어찌 언(焉)'은, 희망도 절망도 아닌, 선도 악도 아닌, 차고 맑은 하나의 어휘 부사(副詞)임을 압니다.

  • ?
    형선 2018.11.07 17:54

    생각을 멈추고,  다시 그 사잇길을 따라 나섭니다. 無心하게 그저 걷고 또 걷기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7 봄맞이 대청소3 file 형선 2019.04.02 187
216 <속속>에서 공부한 사상가 file 형선 2019.04.07 210
215 孰人의 장소 2 file 형선 2019.04.14 183
214 '사람의 일이다' 2 file 형선 2019.04.15 200
213 자본과 영혼 3 file 遲麟 2019.04.16 267
212 49회 속속 1 file 遲麟 2019.04.23 167
211 [자본과 영혼] 출간 소식 1 file 遲麟 2019.04.26 218
210 추사 김정희 생가(충남 예산) file 형선 2019.04.27 335
209 <속속> 50회 기념 책갈피 1 file 형선 2019.05.01 249
208 50회 속속, 꽃과 수박과 반 걸음(跬步) 1 file 遲麟 2019.05.07 252
207 속속 50회(2) file 현소자 2019.05.07 195
206 51회 속속 file 遲麟 2019.05.20 185
205 9회쪽속 file 遲麟 2019.05.28 169
204 영혼은 어떻게 생기는가 file 형선 2019.05.28 228
203 2019년 6월 1일 속속(52회) file 遲麟 2019.06.05 137
202 차라리 영혼은, file 형선 2019.06.07 212
201 6월15일 속속, 1 file 遲麟 2019.06.17 171
200 언시에서 열린 작은 놀이판 2 file 시란 2019.06.19 332
199 6월 29일, 속속 1 file 遲麟 2019.07.02 180
198 天安 장숙 file 형선 2019.07.04 25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