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371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언시 어찌시장이.jpg언시.jpg

언시(焉市)


시숙물지언시불창(時熟物至焉市不創)
때가 익고 물건이 오니 어찌 시장이 열리지 않겠는가.


이를 줄여서 숙인언시(孰人焉市)라고 부를 수 있고, 그 뜻은 (누구의 어찌 시장)(숙인의 어찌 시장), 입니다.

간편하게는 다시 이를 줄여서 언시(焉市, 어찌 시장이!)라고 부르면 되겠군요.

누구의 어찌 시장을 줄여, <누찌장>으로 불러도 좋습니다.      -k님

 


-----------------------------------------------------------------------------------------


공부자리가 열리는 날, 장숙의 차방 한 켠에는 숙인들의 옛 물건들로 채워진 작은 벼룩시장 언시(焉市)가 섭니다.
"갈수록 더 많은 희생물들을 죽였던 아스텍족과 흡사하게, 지구의 자원을 게걸스럽게 먹어치우(르네 지라르 『문화의 기원』104쪽)"고,
"한손으로 물건을 사고,  다른 손으로 내던지(르네 지라르 『문화의 기원』105쪽)"며 즐거웠던 우리는 문득, 
그 행렬에서 조용히 빠져나와 '어찌 언(焉)'이 이끄는 사잇길로 나섰습니다.

  
'어찌 언(焉)'은,  아직은 속죄도 반칙이라며 그저 걸어보라고, 걷다보면 때가 익어 '되어' 있을 것이라고 일러줍니다.

물론,  '어찌 언(焉)'은, 희망도 절망도 아닌, 선도 악도 아닌, 차고 맑은 하나의 어휘 부사(副詞)임을 압니다.

  • ?
    형선 2018.11.07 17:54

    생각을 멈추고,  다시 그 사잇길을 따라 나섭니다. 無心하게 그저 걷고 또 걷기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7 제1회 장독포스터 1 file 遲麟 2019.11.15 245
76 황톳길 file 토우젠 2019.11.06 193
75 63회 속속 file 遲麟 2019.11.05 159
74 2019 "秋而孰同步" 5 file 遲麟 2019.10.13 245
73 10월 9일, 팽주 토우젠이 주관한 [레몬-청] [애플시나몬-청] 만들기 1 file 遲麟 2019.10.09 219
72 60회 속속(9월21일) file 遲麟 2019.09.24 203
71 (9월7일) 59회 속속 file 遲麟 2019.09.14 166
70 (9월6일) 제2차 세종시 강연 1 file 遲麟 2019.09.14 185
69 어떤 실험, 혹은 실천 file 형선 2019.08.17 246
68 57회 속속 file 遲麟 2019.08.13 184
67 20190809, 세종시 강연(1) 1 file 遲麟 2019.08.13 214
66 2019 여름 장숙행 1 file 遲麟 2019.08.04 1348
65 牙山 인문지리 탐방 file 형선 2019.08.03 187
64 (7월 27일) 56회 속속 2 file 遲麟 2019.07.30 169
63 2019년 7월20일, 晦明齋 1 file 형선 2019.07.23 316
62 童詩, 한 편 소개합니다 1 遲麟 2019.07.17 320
61 7월 13일, 55회 속속 file 遲麟 2019.07.15 169
60 天安 장숙 file 형선 2019.07.04 255
59 6월 29일, 속속 1 file 遲麟 2019.07.02 180
58 언시에서 열린 작은 놀이판 2 file 시란 2019.06.19 331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