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376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언시 어찌시장이.jpg언시.jpg

언시(焉市)


시숙물지언시불창(時熟物至焉市不創)
때가 익고 물건이 오니 어찌 시장이 열리지 않겠는가.


이를 줄여서 숙인언시(孰人焉市)라고 부를 수 있고, 그 뜻은 (누구의 어찌 시장)(숙인의 어찌 시장), 입니다.

간편하게는 다시 이를 줄여서 언시(焉市, 어찌 시장이!)라고 부르면 되겠군요.

누구의 어찌 시장을 줄여, <누찌장>으로 불러도 좋습니다.      -k님

 


-----------------------------------------------------------------------------------------


공부자리가 열리는 날, 장숙의 차방 한 켠에는 숙인들의 옛 물건들로 채워진 작은 벼룩시장 언시(焉市)가 섭니다.
"갈수록 더 많은 희생물들을 죽였던 아스텍족과 흡사하게, 지구의 자원을 게걸스럽게 먹어치우(르네 지라르 『문화의 기원』104쪽)"고,
"한손으로 물건을 사고,  다른 손으로 내던지(르네 지라르 『문화의 기원』105쪽)"며 즐거웠던 우리는 문득, 
그 행렬에서 조용히 빠져나와 '어찌 언(焉)'이 이끄는 사잇길로 나섰습니다.

  
'어찌 언(焉)'은,  아직은 속죄도 반칙이라며 그저 걸어보라고, 걷다보면 때가 익어 '되어' 있을 것이라고 일러줍니다.

물론,  '어찌 언(焉)'은, 희망도 절망도 아닌, 선도 악도 아닌, 차고 맑은 하나의 어휘 부사(副詞)임을 압니다.

  • ?
    형선 2018.11.07 17:54

    생각을 멈추고,  다시 그 사잇길을 따라 나섭니다. 無心하게 그저 걷고 또 걷기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7 카뮈<정의의 사람들> + 호박수프 만들기 7 file 지린 2021.12.31 1512
256 2022년 2월 -겨울 장숙행 4 file 실가온 2022.02.15 1429
255 茶室 공사 중 1 file 찔레신 2022.01.29 1405
254 2019 여름 장숙행 1 file 遲麟 2019.08.04 1348
253 신(神)은, file 지린 2022.01.05 1344
252 창조 4 file 지린 2021.11.01 1332
251 2021년 12월 file 찔레신 2021.11.24 1325
250 114회 속속 file 侑奏 2021.11.08 1317
249 서울 보속行 file 는길 2022.01.24 1314
248 경주에서, 장숙행 file 는길 2022.02.16 1309
247 120회 속속 file 未散 2022.02.03 1303
246 송년 속속, 속초 겨울 바다! file 는길 2021.12.16 1303
245 118회 속속 1 file 未散 2022.01.04 1302
244 116회 속속 file 侑奏 2021.12.07 1300
243 茶室 공사 중 2 1 file 肖澹 2022.02.24 1278
242 122회 속속 file 未散 2022.02.26 1276
241 119회 속속 file 未散 2022.01.18 1266
240 113회 속속 file 侑奏 2021.10.24 1266
239 115회 속속 file 侑奏 2021.11.22 1252
238 揷矢島에서 1 file 형선 2019.01.23 124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