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42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余下士也, 曰壯觀在瓦礫 曰壯觀在糞壤. 夫斷瓦, 天下之棄物也. 然而民舍繚垣肩以上, 更以斷瓦兩兩相配, 爲波濤之紋, 四合而成連環之形, 四背而成古魯錢, 嵌空玲瓏, 外內交映. 不棄斷瓦, 而天下之文章斯在矣朴趾源(1737~1805) 熱河日記, 馹迅隨筆

나는질이낮은선비다,깨진기왓장이장관이라말하고 똥덩어리가장관이라고말한다. 대개깨진기와는, 천하에버려지는물건이다. 그러나백성의집을어깨이상의높이로두른담장에, 다시깨진기와로써둘둘씩맞붙이면, 파도의무늬를만들고, 네개를합치면연결된가락지형태고, 네개를등지게하면옛노나라의동전모양의로, 빈구멍이영롱하고, 안과밖을서로비춘다. 깨지기와를버리지않으면천하의문장이여기에있는것이다. 박지원(1737~1805) 열하일기, 일신수필

 

*

지난 시독 시간에 배운 열하일기의 한 구절입니다. 선생님께서, “不棄斷瓦而天下之文章斯在矣”(깨진기왓장버리지마라천하의문장이여기에있다)를 읽어주실 때는, 깨진 기왓장으로 이런저런 문양을 낸 담장을 이리저리 살피면서 감탄하고 있는 연암의 모습이 선연(鮮然)하였습니다. 넝마주의들이 커다란 바구니를 등에 짊어지고, 넝마를 찾아 이리저리 거닐고 있는 거리를 산책 중인 발터 벤야민(1892~1940)이 떠오르기도 하였습니다.

 

*

不棄斷瓦而天下之文章斯在矣斯在矣在斯矣로 되어야 한다고 배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5 踏筆不二(1) 3 file 遲麟 2019.10.24 166
174 네가 연 창문으로 1 실가온 2022.04.04 166
173 [一簣爲山(17)-서간문해설]答李善述 file 燕泥子 2022.08.21 169
172 138회 별강 <연극적 삶의 진실> 1 내이 2022.09.30 169
171 With file 희명자 2020.11.20 170
170 길속글속 147회 '말하기 심포지움' 별강문 --- 말하기와 관련한 작은 노력들 수잔 2023.02.17 170
169 장독후기(25회) 2023/05/07 1 簞彬 2023.05.18 171
168 살며, 배우며, 쓰다(정신의 형식) 더스트 2019.02.02 172
167 121회 별강<부사적 존재와 여성> 내이 2022.02.08 172
166 essay 澹 1. 그 사이에서 肖澹 2022.01.20 173
165 132회 별강 <낭독의 공부> 簞彬 2022.07.07 173
164 五問(8) - 날마다 근육통 file 隱昭(은소) 2021.03.28 174
163 ㄱㅈㅇ, 편지글 1 찔레신 2023.04.28 174
162 (위험한 여자들) #1. 페미니즘의 도전(정희진, 2013) 2 榛榗 2019.11.19 175
161 茶房淡素 (차방담소)-8-In vino veritas file 효신 2021.05.02 175
160 물의 씨 1 file 遲麟 2018.11.28 178
159 茶房淡素 (차방담소)-6 효신 2020.12.13 179
158 곱게 보기/ 수잔의 경우 file 찔레신 2023.02.05 179
157 <90회 속속 별강> 말(言)을 배운다 侑奏 2020.11.27 180
156 125회 별강 <소송하는 여자> 燕泥子 2022.04.01 180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