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연극과 생활극


2024.03.21_ 숙비랑


 무대 위에 올려진 연극하는 인간은 연극하기를 멈추지 않음으로 극을 중단 없이 전개시킨다. 약속된 시간이 끝날 때까지, 정해진 극의 진행만이 극인의 인생이 되며, 이로써 무대 위 ‘존재 일반’은 한편의 단일한 서사를 완성하는데 동원된다.

 반면, 시공간의 동선이 무수히 겹쳐진 생활극의 현장은, ’존재일반‘이 상호 간섭하며 영향을 주고 받는 다중의 중층극이다. 다중의 복합성은 ‘무대 아래’가 없기에 확보된 연속성과 함께, 시점의 이동에 따른 수많은 장르의 서사를 만들어낸다. 이에 더해, 극인과 극인 혹은 서사와 서사사이의 상관 관계로서 드러나는 인간성과 제3의 서사는 부수적 필연으로 따라온다.

 삶은 자/타의 극(행위)이 구성적으로 얽혀 사후성을 띠며 완성되어 나아가는 한편의 생활극이다.  생활극이라는 다중의 복합성과 시간성 아래 부여된 끊임없는 변화는, 극인의 인격, 극인의 인생, 극인의 세상이 결코 고정되어 있을 수 없음을 말한다. 그래서 생활극인의 고정된 자아상에 금이 가고 표상되는 세상에 균열이 생길때, ‘이 극 속의 너는 무엇이었는가’라는 물음은 유효하다. 이 물음은, 제 극적 세상을 부수고 극을 재편하는 주체가 될 것인가, 단일한 서사에 동원된 고정인물이 될 것인가를 생활극인에게 묻는다. ‘이 극 속의 너는 무엇이 될 것인가’라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 Emily Dickinson 찔레신 2021.02.28 244
47 闇然而章(15)/ 원망도 없이, 냉소도 없이 2 file 찔레신 2022.12.26 241
46 고전한문강독(215-225) (시경, 예기) 찔레신 2020.02.25 241
45 小學書題 2 찔레신 2019.10.10 241
44 茶山의 앞과 뒤 찔레신 2020.11.08 237
43 闇然而章(14)/ 언제나 다시 시작한다 2 file 찔레신 2022.12.12 236
42 한문고전강독 인용문(141-155) (맹자) 찔레신 2019.11.04 227
41 <을병연행록> (1-23) 1 file 찔레신 2020.04.09 227
40 라디오극(3): 醫山問答 (1-32) 2 file 찔레신 2020.03.31 225
39 고전한문강독(맹자-대학/ 171-183) 찔레신 2019.12.16 224
38 Hanna Arendt (1906~1975)(2): (1-5/계속) 찔레신 2022.08.22 220
37 고전한문강독(맹자/ 156~170) 찔레신 2019.12.03 213
36 한문 서간문/한시(14) (1-20) 찔레신 2020.04.22 202
35 고전한문강독(184-199) (大學-中庸) 찔레신 2019.12.31 201
34 '(현대) 한국인이란 누구인가?' (83회 속속 발제/별강) 1 지린 2020.08.14 194
33 조선의 18~19세기, 湛軒 이후 (1-24) 1 찔레신 2020.04.16 192
32 고전한문강독(336-343)(莊子) 찔레신 2020.09.07 189
31 '闇然而章' 복습 (11~20회) 2 찔레신 2023.04.16 174
30 '(현대) 한국인이란 누구인가?' 속속83회 별강 희명자 2020.08.15 173
29 고전한문강독(329~335) 찔레신 2020.08.24 16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