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0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87회 속속에서 함께 읽을 우리한시는 연암(燕巖)박지원(朴趾源) (1737, 영조13년~1805, 순조5년)의 시, <燕巖億先兄연암골에서앞서간형님을생각하며>입니다.


我兄顔髮曾誰似

每憶先君看我兄

今日思兄何處見

自將巾袂映溪行

朴趾源<燕巖先兄>

나의형님얼굴과수염은일찍이누구를닮았던가

매번먼저가신아버지생각나면나의형님을보았는데

이제형님이그리우니어느곳을볼까

옷을갖춰입고시내에나가스스로를비춰보려하네

박지원<제비바위골에서앞서간형님을생각하며>


*

연암의 시는 “스스로를 비춰보려는 시적 자아”가 등장하고, 개인의 정서를 노래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한시들이 자연을 노래하고, 어느 정도 일정한 투식(套式)아래 있었다면, 연암의 시는 그 투식의 덮개를 송곳처럼 뾰족하게 찌르고 나와 있습니다.


*

시에는 巾袂(건몌)라는 말이 있습니다. 몌(袂 )는 옷소매를 뜻합니다. 이 말, 건몌의 의미를 헤아려보기 위해서, 사전을 뒤져 다음 두 가지 말을 참조해보았습니다. 우선, 巾依(건의)라는 말이 있습니다. 두건(頭巾)을 쓰고 옷을 입음, 즉 복장을 정제(整齊,격식에 맞게 차려입고 매무시를 바르게 함)한다는 말입니다. 또, 袂別(몌별)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소매를 나눔, 즉 이별한다는 말입니다. 옛사람들의 소매가 넓어서인지, 헤어지기 전 서로의 옷소매를 나누어 잡고, 이제 헤어지면 언제 만날 수 있을까 모르는 서운함을 나누고, 눈물을 흘리며, 다른 쪽 소매를 적시는 장면이 옛 이야기에 종종 등장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2 虛室'' essay_1. 겸허함이 찾아드는 순간 3 허실 2019.10.31 158
251 踏筆不二(2) file 遲麟 2019.11.05 95
250 (身詞) #1. 글쓰기의 어려움 4 榛榗 2019.11.05 327
249 虛室'' essay_2. 그 사이에서 2 허실 2019.11.09 136
248 踏筆不二(3) 원령(怨靈)과 이야기하는 사람 2 file 遲麟 2019.11.15 129
247 (위험한 여자들) #1. 페미니즘의 도전(정희진, 2013) 2 榛榗 2019.11.19 174
246 踏筆不二(4) 1 file 遲麟 2019.11.21 203
245 Girlfriend Learns The Secret Behind Man's Cheap Rent 2 찔레신 2019.11.29 38432
244 虛室'' essay_3. 글쓰기와 자기이해 2 허실 2019.12.03 544
243 공자님, 2 희명자 2019.12.04 206
242 Childhood Abuse Led Woman To Long Life Of Promiscuity 1 찔레신 2019.12.12 99719
241 虛室'' essay_4. 정신 차렷! 몸 차렷! 허실 2019.12.28 194
240 이웃을 도울 수 있는가? 億實 2020.01.01 255
239 踏筆不二(5) 復習 file 遲麟 2020.01.06 197
238 踏筆不二(6) 좋은 생활 file 遲麟 2020.01.10 197
237 虛室'' essay_5. 성, 사랑, 인간을 공부하며 느꼈던 소회(송년회 별강) 허실 2020.01.15 1276
236 스승과 제자들 億實 2020.01.16 199
235 Man's Explosive Anger Causes Concern For Easygoing Fiancee 1 file 찔레신 2020.01.16 21444
234 踏筆不二(7) 메타포에 능한 자 1 file 遲麟 2020.02.07 202
233 9살 서율이의 10계 1 file 희명자 2020.02.09 231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