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0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87회 속속에서 함께 읽을 우리한시는 연암(燕巖)박지원(朴趾源) (1737, 영조13년~1805, 순조5년)의 시, <燕巖億先兄연암골에서앞서간형님을생각하며>입니다.


我兄顔髮曾誰似

每憶先君看我兄

今日思兄何處見

自將巾袂映溪行

朴趾源<燕巖先兄>

나의형님얼굴과수염은일찍이누구를닮았던가

매번먼저가신아버지생각나면나의형님을보았는데

이제형님이그리우니어느곳을볼까

옷을갖춰입고시내에나가스스로를비춰보려하네

박지원<제비바위골에서앞서간형님을생각하며>


*

연암의 시는 “스스로를 비춰보려는 시적 자아”가 등장하고, 개인의 정서를 노래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한시들이 자연을 노래하고, 어느 정도 일정한 투식(套式)아래 있었다면, 연암의 시는 그 투식의 덮개를 송곳처럼 뾰족하게 찌르고 나와 있습니다.


*

시에는 巾袂(건몌)라는 말이 있습니다. 몌(袂 )는 옷소매를 뜻합니다. 이 말, 건몌의 의미를 헤아려보기 위해서, 사전을 뒤져 다음 두 가지 말을 참조해보았습니다. 우선, 巾依(건의)라는 말이 있습니다. 두건(頭巾)을 쓰고 옷을 입음, 즉 복장을 정제(整齊,격식에 맞게 차려입고 매무시를 바르게 함)한다는 말입니다. 또, 袂別(몌별)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소매를 나눔, 즉 이별한다는 말입니다. 옛사람들의 소매가 넓어서인지, 헤어지기 전 서로의 옷소매를 나누어 잡고, 이제 헤어지면 언제 만날 수 있을까 모르는 서운함을 나누고, 눈물을 흘리며, 다른 쪽 소매를 적시는 장면이 옛 이야기에 종종 등장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3 '글쓰기'라는 고민 해완 2022.01.05 400
272 악마는 호박죽을 먹는다 2 실가온 2022.01.18 385
271 110회 속속 별강 <변신(變身)하기 위해 장숙(藏孰)에서 장숙(藏熟)하기> 2 수잔 2021.09.03 369
270 연극적 실천이 주는 그 무엇 하람 2018.09.13 349
269 <동무론>, 전설의 책 ! 3 file 찔레신 2022.10.04 346
268 (속속 130회 별강) 정서가 자란다 file 는길 2022.06.11 342
267 <藏孰> 천안시대, 晦明齋를 열며 2 file 찔레신 2019.07.11 335
266 Dear 숙인, 10 file 형선 2019.08.06 333
265 깨진 와인잔 2 簞彬 2022.01.14 332
264 遲麟과 는길, 豈忘始遇高岐境 3 file 찔레신 2021.12.31 327
263 (身詞) #1. 글쓰기의 어려움 4 榛榗 2019.11.05 327
262 114회 별강-<유령들의 요청> 실가온 2021.10.28 315
261 엄마의 서재(1) '연구'라는 공부-활동 1 file 는길 2022.01.12 313
260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청라의 독후감 1 찔레신 2023.01.03 299
259 [一簣爲山(01)-서간문해설]與栗谷書 10 file 燕泥子 2021.06.15 297
258 <틈셋학교>를 연기합니다, file 희명자 2020.02.21 293
257 學於先學 4_ 다산과 신독 혹은 그의 천주에 관한 짧은 정리적·상상적 글쓰기 肖澹 2021.03.25 292
256 行知(6) 후배-되기 2 희명자 2020.06.19 292
255 essay 澹 2. 존재의 온도 肖澹 2022.02.02 287
254 [一簣爲山(11)-서간문해설]與牛溪書 2 file 燕泥子 2022.04.05 28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