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0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87회 속속에서 함께 읽을 우리한시는 연암(燕巖)박지원(朴趾源) (1737, 영조13년~1805, 순조5년)의 시, <燕巖億先兄연암골에서앞서간형님을생각하며>입니다.


我兄顔髮曾誰似

每憶先君看我兄

今日思兄何處見

自將巾袂映溪行

朴趾源<燕巖先兄>

나의형님얼굴과수염은일찍이누구를닮았던가

매번먼저가신아버지생각나면나의형님을보았는데

이제형님이그리우니어느곳을볼까

옷을갖춰입고시내에나가스스로를비춰보려하네

박지원<제비바위골에서앞서간형님을생각하며>


*

연암의 시는 “스스로를 비춰보려는 시적 자아”가 등장하고, 개인의 정서를 노래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한시들이 자연을 노래하고, 어느 정도 일정한 투식(套式)아래 있었다면, 연암의 시는 그 투식의 덮개를 송곳처럼 뾰족하게 찌르고 나와 있습니다.


*

시에는 巾袂(건몌)라는 말이 있습니다. 몌(袂 )는 옷소매를 뜻합니다. 이 말, 건몌의 의미를 헤아려보기 위해서, 사전을 뒤져 다음 두 가지 말을 참조해보았습니다. 우선, 巾依(건의)라는 말이 있습니다. 두건(頭巾)을 쓰고 옷을 입음, 즉 복장을 정제(整齊,격식에 맞게 차려입고 매무시를 바르게 함)한다는 말입니다. 또, 袂別(몌별)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소매를 나눔, 즉 이별한다는 말입니다. 옛사람들의 소매가 넓어서인지, 헤어지기 전 서로의 옷소매를 나누어 잡고, 이제 헤어지면 언제 만날 수 있을까 모르는 서운함을 나누고, 눈물을 흘리며, 다른 쪽 소매를 적시는 장면이 옛 이야기에 종종 등장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2 [一簣爲山(08)-서간문해설]與李叅奉 2 file 燕泥子 2021.08.05 206
191 공자님, 2 희명자 2019.12.04 206
190 113회 속속 별강 <눈을 감고 심호흡을 하면> 1 약이 2021.10.15 204
189 踏筆不二(4) 1 file 遲麟 2019.11.21 203
188 들을 수 없음 1 file 형선 2019.04.25 203
187 踏筆不二(7) 메타포에 능한 자 1 file 遲麟 2020.02.07 202
186 남성과 여성의 차이에 관한 불편함 1 燕泥子 2019.07.31 201
185 그 곳, 그것 그리고 나 1 file 簞彬 2022.02.28 200
184 Luft und Licht heilen 1 찔레신 2022.08.24 199
183 스승과 제자들 億實 2020.01.16 199
182 [一簣爲山(02)-서간문해설]與李夢應 2 file 燕泥子 2021.06.22 198
181 Dear Teacher 1 燕泥子 2022.01.24 197
180 踏筆不二(6) 좋은 생활 file 遲麟 2020.01.10 197
179 踏筆不二(5) 復習 file 遲麟 2020.01.06 197
178 (155회 속속 硏講) 가장자리에서 지린 2023.06.10 196
177 조선 1894년 여름, 여성의 삶과 관련하여 1 file ㅇㅌㅅ 2020.08.02 196
176 소유 懷玉 2022.01.27 195
175 [一簣爲山(05)-서간문해설]答百誠之 file 燕泥子 2021.07.14 195
174 딴 생각 file 형선 2019.01.29 195
173 essay 澹 3. 安寧 肖澹 2022.03.03 194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