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상인一味
아는 형님, 패션 디자이너인 그의 부인, 그리고 나  셋이서 술자리를 한 적이 있었다. 
서로 이야기를 섞는 중에 형수님의 손동작이 끼고 있던 헐렁한 팔찌로 하여금 금속성 소리를 
만들어내었다.  
순간, 그 금속성 소리도 그 분 의상의 한 부분이 되는 듯 했다. 소리가 패션이 되는 순간이랄까?

석 장의 그림과 BGM이 함께하는 그림 한 장을 더하여 만든 詩. 
그림 1. 저녁 무렵, 산허리 바위에 기대어 잠 든 늙은 이
그림 2. 안개 낀 새벽녘, 대나무를 땔감으로 아침밥 짓는 늙은 이
그림 3. 해 뜬 그 곳, 안개는 걷히고 노인은 자취 없고
그림 4. 푸른 산 푸른 강 (노젓는 소리 더함)
追伸 : 뒤에 오는 두 句는 蘇東坡의 의견에 동조하여 생략하고싶다. 

= 柳宗元, 漁翁
漁翁夜傍西巖宿 (어옹야방서암숙) 늙은 어부 밤 되어 서쪽 바위에 기대 잠들고 
曉汲淸湘然楚竹 (효급청상연초죽) 새벽엔 맑은 湘水물 길어 楚竹으로 불 지핀다
煙銷日出不見人 (연소일출불견인) 안개 흩어지고 해 뜨니 그 노인 아니 뵈고 
欸乃一聲山水綠 (애내일성산수록) 푸르른 山水 너머 노 젓는 소리 ‘어여차’ 
迴看天際下中流 (회간천제하중류) 中流 타고 내려가며 하늘 끝 돌아보니
巖上無心雲相逐 (암상무심운상축) 바위 위서 서로 좇는무심한 구름

첨부된 사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3 [또다공] 뜸의 쓸모 newfile 如一 2025.11.06 18
» = 唐詩 一句一味(20) 欸乃一聲山水綠 상인 2025.11.06 16
351 교재발제]몽양과 6.15시대(주제발표_조영건 경남대학교 명예교수) 孰定而匪 2025.11.06 29
350 최상용의 논문 『여운형의 사상과 행동』 발제 file 는길 2025.11.06 44
349 이정식 교수 주제발표문 리뷰 1 file 상인 2025.11.04 82
348 민세 안재홍(1891~1965)의 건강법 찔레신 2025.11.03 68
347 = 唐詩 一句一味(19) 西出陽關無故人 상인 2025.10.30 53
346 역사화된 축중: 개연 file 독하 2025.10.29 52
345 = 唐詩 一句一味(18) 雙照淚痕乾 1 상인 2025.10.24 77
344 夢陽선생 해적이 file 상인 2025.10.19 95
343 = 唐詩 一句一味(17) 昔聞今上涕泗流 1 file 상인 2025.10.19 90
342 세포: 저항 없는 (초)자연 file 독하 2025.10.19 104
341 德不孤, 必有鄰 file 독하 2025.10.16 82
340 191회 속속, 발제 : 악셀 호네트의 인정 이론과 병리적 사회비판 簞彬 2025.10.09 83
339 = 唐詩 一句一味(16) 國破山河在 상인 2025.10.07 60
338 부산 강연) 동무론, 혹은 공부와 연대가 겹치는 지혜에 관하여 file 는길 2025.10.01 95
337 = 唐詩 一句一味(15) 疑是地上霜 file 상인 2025.10.01 81
336 (정)신은 공평하다 file 독하 2025.09.26 95
335 唐詩 一句一味(14) 少小離家老大回 2 상인 2025.09.24 114
334 암: 정신이 퇴화한 지표 2 file 독하 2025.09.24 14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