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손가락에서 손가락으로.jpg



/



서문 : 손가락의 사연과 내력


<글쓰기> 담론이 한동안 우리 학계의 일각을 흔들었다. 당대의 학문적 현안에 무관심한 이가 아니라면 그 여진(餘振)에 더러 일말의 각성이라도 있었을 것이다. 나도 내내 그 담론의 중심에서 비켜나지 않고 내 공부의 기억할 만한 풍경으로 삼고자 나름의 열정과 재주를 모았다. (내 공부는 다만 풍경이라고, 여러 차례 밝히지 않았던가. 그리고 풍경이란 무엇보다도 인상적이어야 하는 법이다.) 무릇 모든 풍경은 지나쳐가는 것이지만, 그 아름다운 모습은 우리 기억의 실체를 이룰 것이다.

<손가락>은 내가 세상과 만나는 자리의 한 부분이다. 주목받지는 못했지만, 늘 말없이 세상과 겹쳐온 부분이다. 그것은 문자적 교양의 과잉에 대한 근원적 반성이 열어준 출구지평(出口地平)이기도 하다. 나는 그 속에서, 계절 없이 외투깃을 따로 세우고 무수한 수입 관념의 계보를 단숨에 주워섬기면서도 내 삶을 왜소하게 방치할 수밖에 없었던 그 무경지(無境地)와 비성숙을 조금씩 내려다볼 수 있었다. 그것은 기실 온고지신수신진덕(溫故知新修身進德)이라는 낡고 묵은 지혜를 되살리는 이치에 닿아 있었다.

나는 하나의 머리에서 내려와 열 개의 손가락으로 퍼져나갔다. 그것들은 부지런하면서도 충실하고, 어느 시인의 말처럼 <손끝마다 반짝이는 10개의 눈>이지만, 말수가 적고 겸손하다. <정오의 해변>에서 <손가락>으로 내 화두가 바뀌는 동안 나도 제법 겸손해졌다. 그 겸손이 존재론을 이룰 때까지 내 손가락들은 변함없이 분주할 것이다.

글쓰기의 피할 수 없는 운명에 지친 끝에 내려앉은 곳, 그곳이 손가락이다. 앎과 삶을 한 품에 보듬고 그 긴장을 내 삶의 자리로 삼아야 한다면, 손가락에 스며드는 나와 세상의 만남과 그 조용한 대화에 유의하는 것도 자연스럽다. 머리를 맴도는 관념의 계몽을 넘어서려는 자라면 <손가락으로> 내려갈 법하고, <손가락에서> 벌어지는 일들에 조그만 희망을 가질 법하다.

당연히 이 희망은 우리 철학과 인문학의 자생력을 엿보는 창구로 이어진다. (학문의 주체성은 임의로 짜낼 수는 없는 법이니, 자생력에 깊이와 역사가 생기면 자연스레 배어나올 것이다.) 이 책은 그 창구의 가까운 거리에서 손가락들이 조용하고 바쁘게 움직인 사연과 내력을 기록한 것이다.

 

*

 

<문학과 인문학의 글쓰기>라는 제목으로 오늘의 문예비평에 연재한 글들이 책의 상당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 동인들에게 감사하며, 지역 비평계의 활성화를 위한 그들의 감투(敢鬪)에 찬사를 보낸다. <한국인문학연구회>의 여러 지기들이 제공한 좋은 자극도 잊지 않고 있다. 특히 <글쓰기> 작업에 그간 변함없는 성원을 보내준 여러 학인들에게 이 글이 작은 정표가 되었으면 한다. 그 밖에 많은 모임과 글을 통해서 이 주제를 두고 대화했던 이들을 마음에 새겨둔다.

 

(오늘 밤에는 깨끗이 손가락들을 씻고 자리에 누워, 첫새벽에 잠이 깨거든 그 손가락들이 어디에 있는지 살며시 만져보아라.)

 

4331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 (19-3) 동무론 3판 출간 예정 ! file 장숙藏孰 2025.07.22 48
23 (23) 비평의 숲과 동무공동체, 한겨례출판, 2011 file 장숙藏孰 2025.07.21 25
22 (22) 세속의 어긋남과 어긋냄의 인문학, 글항아리, 2011 file 장숙藏孰 2025.07.18 34
21 (21) 공부론, 샘터, 2010 file 장숙藏孰 2025.07.17 25
20 (20) 영화인문학, 글항아리, 2009 file 장숙藏孰 2025.07.16 29
19 (19) 동무론, 한겨례출판, 2008 file 장숙藏孰 2025.07.15 29
18 (18) 동무와 연인, 한겨례출판, 2008 file 장숙藏孰 2025.07.14 19
17 (17) 산책과 자본주의, 늘봄, 2007 file 장숙藏孰 2025.07.11 66
16 (16) 사랑 그 환상의 물매, 마음산책, 2004 file 장숙藏孰 2025.07.10 33
15 (15) 보행, 철학과 현실사, 2001 file 장숙藏孰 2025.07.09 50
14 (14) 자색이 붉은색을 빼앗다, 동녘, 2001 file 장숙藏孰 2025.07.08 27
13 (13) 지식인과 심층근대화 -접선의 존재론-, 철학과 현실사, 1999 file 장숙藏孰 2025.07.07 34
12 (12) 문화文化 문화文禍 문화紋和, 동녘, 1998 file 장숙藏孰 2025.07.04 23
11 (11) 진리․일리․무리-인식에서 성숙으로-, 철학과 현실사, 1998 file 장숙藏孰 2025.07.03 34
» (10) 손가락으로, 손가락에서: 글쓰기(와) 철학, 민음사, 1998 file 장숙藏孰 2025.07.02 94
9 (9) 소설 속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1997 file 장숙藏孰 2025.07.01 37
8 (8) 고전평설, 철학과 현실사, 1996 file 장숙藏孰 2025.06.30 42
7 (7) 탈식민성과 우리 인문학의 글쓰기, 민음사, 1996 file 장숙藏孰 2025.06.27 149
6 (6) 컨텍스트로, 패턴으로, 현대의 지성, 1996 file 장숙藏孰 2025.06.26 46
5 (5) 철학으로 영화보기, 영화로 철학하기, 철학과 현실사, 1994 file 장숙藏孰 2025.06.25 39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